진주강씨 종사 상계보

공목공 연보  강씨 상계 공목공 묘지명  발간사 및 축간사  편집후기  문과급제  진사생원   계보도  관직표 용어  항렬 

 

 

 

도시조 고구려 姜以式장군

 

 

경남 진주시 상봉동 봉산사

                       강씨(姜氏) 종사(宗史)

연대 및 국사대사전   

  수나라 30만 대군을 물리친 고구려 구국의 명장

 

  도시조(都始祖) 姜以式(강이식) 장군은 서기 598년(고구려 영양왕 9) 수나라와의 제1회 전쟁인 「임유관(臨渝關) 전쟁」에서 정병 5만을 이끌로 수나라 군사 30만명을 섬멸시킨 고구려 병마도원수이다.  

598년 고구려 영양왕9

*임유관:지금의 산해관 서북쪽에 있는 곳으로 고구려와 수나라가 서로 차지하려던 군사적 요충지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선생이 쓴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에 의하면 「임유관 전역(전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隋)나라 문제(文帝)가 진(陳)을 합병하고 중국을 통일한 다음 17년 동안 풍년이 들고 군대가 넉넉하자 고구려를 침략할 야욕으로 국서(외교문서)를 보내왔는데 그 내용이 지극히 모욕적이고 위협과 야유로 차있었다.

  “짐(수나라 문제)이 하늘의 명을 받아 온 천하를 다스리면서 고구려왕에게 바다 한 귀퉁이를 맡긴 것은 백성을 잘 다스려서 사람으로서 그 천성을 다하게 함이라, 왕이 매양 사절(使節)을 보내 조공하였으나 비록 번부(藩附 떨어진 지방)라 일컫기는 하지만 성의가 부족하다.

  고구려왕은 이미 짐의 신하로 짐의 덕을 배워야 함에도 말갈족을 핍박하고 거란족을 등용치 아니하고 신첩(臣妾)으로 만들고 짐에게 조공하는 일을 막다니 이 어찌도 해가 심한가, 작년에는 몰래 병사를 늘리고 병기를 수리하니 이것은 무엇을 뜻함인가?

  고구려가 영토가 좁고 백성이 소수이니 고구려왕을 내쫓고 반드시 다른 속관(屬官)을 보낼 것이다. 그러나 마음을 씻고 행동을 바르게 하면 짐의 충신이니 어찌 속관을 두랴. 고구려 왕은 다시 한 번 생각하라, 요수(遼水 고구려 영토 안에 있는 강)가 넓다한들 장강(長江 양자강)과 비교할 것이며, 고구려 병사가 많다한들 진(陳)나라 병사만도 못하다.

  짐이 마음만 먹으면 한 명의 장군을 보내어 힘 들이지 않고 고구려를 멸할 수 있지만 순순히 타이르니 고구려 왕이 스스로 깨닫기를 바란다.”

   중국은 이웃나라 제왕의 별세는  매번  그 사실을 보고 받은 해에 기록하므로 그 사실이 발생한 연도를 틀리게 기록하는 것은  춘추시대 이래의 습관이므로 수나라 역사책에 이같이 잘못 기록하였던 것이다. 삼국사기는 평원, 영양왕 두 본기의 연대는 고기(古記)를 쫓고 서로 관계된 사실은 오로지 수나라 책에서 뽑았기 때문에 수나라 책에서 이 글이 평원왕에게 보낸 글이라 했으므로 삼국사기에서는 이 글을 평원왕 32년에 옮겨 기재하여 연대를 그르치는 동시에 관계된 인물까지 잘못 기록한 것이다.

597년 고구려

영양왕 8년

 

*신채호(申采浩):독립운동가, 언론인, 1929년 일제에 체포되어 감옥에서 별세했다.

 

*짐:임금이 자신을 칭하는 대명사

 

 

 

 

 

 

 

*삼국사기:고려 김부식이 지은 역사책

 

*평원왕:재위 기간

(559~ 590)

 

                       강씨(姜氏) 종사(宗史)

연대 및 국사대사전   

 강이식 “붓으로 회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해야”

 

  영양왕이 이 모욕적인 글을 받고 몹시 노하며 여러 대신들을 모아놓고 회답할 글을 의논하였으나 강이식(姜以式) 장군이 “이와 같은 모욕적이고 무례한 글은 붓으로 회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회답할 글이다”하고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이에 왕이 쾌히 따르며 강이식 장군을 병마원수로 삼아 정병 5만 명을 거느리고 임유관으로 향하게 하고 예(濊:수나라 역사책에서는 말갈) 군사 1만 명으로 먼저 요서(遼西)를 침공하여 수나라 병사를 유인하며, 거란병 수천 명으로 지금의 산동(山東)을 치게 하니 이에 두 나라 사이에 첫 번째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듬해(598년) 고구려 군사가 요서에 침입하여 수나라 요서총관 위충(韋沖)과 접전하다가 임유관(臨渝關)으로 유인하기 위해 거짓 패하니 수나라 문제가 30만 명 대군을 동원하여 한왕(漢王) 양량(楊諒)으로 행군대총관으로 삼아 임유관으로 진격하게 하였다. 한편으로는 주라후(周羅睺)를 수군총관으로 삼아 바다로 나아가게 하여 평양을 치려한다고 소문을 내었으나 실은 군량미를 실은 배를 이끌고  요해로 들어와 30만 양량(楊諒)의 대병에게 군량을  대어주려 함이었다.

  강이식이 이 기미를 알아차리고 바다 가운데로 수군을 거느리고 들어가 주라후를 맞아 양선을 완전 격파한 다음 군사에게 성벽을 지키고 싸우지 말라고 명하였다.

  수나라 병사들은 양식이 바닥이 나 굶어죽고 6월에 장마를 맞아 질병으로 사망자가 어지럽게 여기저기 흩어져 있고, 퇴군하자 강이식이 이를 임유관 상류에서 추격하여 수나라 병사를 거의 섬멸하고 무수한 군기를 얻고 개선하였다.

 

수나라 문제는 고구려를 두려워해 다시는 출병치 않아

 

  수나라 역사책에서는 “양량의 군사는 장마철에 질병을 만났고, 주라후의 군사는 풍랑을 만나 퇴각할 때 사망자가 10중에 9”라 하여 “자연의 불가항력에 의해 패한 것이요, 고구려 군사에 의해 패한 것이 아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중국의 체면을 숨기기 위한 춘추필법이니 임유관 전쟁은 물론이요, 살수전쟁의 기록도 이 같은 춘추필법으로 기록한 것이 많다.

  

  여하간 임유관 전쟁 이후에 수나라 문제는 고구려를 두려워하여 다시 출병치 않았다. 두 나라가 휴전 조약을 맺고 상품 무역을 재개하고 10여 년 동안 양국 사이에 싸움이 없었다.

 

 

 

 

 

 

 

 

 

 

 

 

 

 

 

 

 

 

 

 

 

*건무:영양왕의 이복 형제로 다음에 영류왕이 되었다.

*요서총관:요서지역 사령관

*한왕:황제 아래 지역별로 왕을 두었다.  

*행군대총관:보병총사령관

*수군총관:해군사령관

*춘추필법:중국의 체면을 위하여 치욕스러운 역사적 사실은 적지 않는 필법  

 

                       강씨(姜氏) 종사(宗史)

연대 및 국사대사전   

  604년에 수나라 문제가 죽고 양제(煬帝)가 즉위하여 해마다 풍년이 들어 각지의 창고에 곡식이 가득하였다. 607년 양제는 마침 돌궐에 와 있던 고구려의 사신에게 “고구려의 왕이 입조하지 않으면 짐이 마땅히 출순(出巡:침입한다는 뜻)할 것이다”라고 야유했다. 613년 11월 동양 역사 이래 일찍이 없던 1,133,800명의 대병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입하였다. 그러나 수나라 양제는 살수대전에서 대패하고 만다. 이로써 양대 전쟁인 임유관, 살수 전쟁에서 패한 수나라는 결국 망하고 당나라가 건국되었다.  

   국내에서 지금까지 출간된 모든 역사책에서는 임유관에서 고구려 군사가 수나라 30만 대병을 물리친 역사적 사실은 기록하면서도 마땅히 그 전쟁에서 고구려 군사를 지휘하여 대승을 거둔 장군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수나라가 수륙 30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입했는데 가     만히 있을 고구려가 아니다. 필시 이에 맞서 싸웠을 것이다. 여기에는 당연히 고구려 군사를 지휘한 장군이 있었을 터인데 이 부분을 기록하지 않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       

  다만 단재 신채호 선생이 지은 조선상고사에서만 강이식 장군이 임유관 전쟁에서 대승한 고구려 장군으로 기록하고 있을 뿐이다.

 

 

 

 

 

 

 

 

 

 

 

 

613년 영양왕 24년

 

 

 

 

강씨종사(姜氏宗史)<상계(上系)>

 연대 및 왕대

국사대사전(이홍직 편찬)

강씨종사(姜氏宗史)

580년 경자

 고구려 평원 22

◇12월 주의 양견(楊堅)이 수나라 왕이 됨.

 

589년 기유

 평원 31

◇1월 수나라가 진을 멸망시키고 중국 천하를 통일

 

590년 경술

 영양 1

◇고구려, 수가 진(陳)을 멸망시킨 소식을 듣고 국방을 엄히 함

 

597년 정사

 영양 8

 

 

 

 

 

◇5월 고구려, 수에 사신을 보냄

 

 

 

 

 

 

8월 수나라 문제가 고구려를 침략할 야욕으로 사신과 국서를 보내왔는데 국서 내용이 지극히 모욕적이고 위협과 야유에 차있었다. 이에 도시조님 강이식(姜以式)은 “이 같이 무례한 글은 붓으로 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답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며 수나라와 싸울 것을 주장하여 영양왕은 이듬해 강이식을 병마원수(지금의 육군 사령관)로 삼아 정병 5만 명을 주었다.

598년 무오

 영양 9

 

 

◇2월 고구려, 말갈병을 거느리고 요서(遼西)를 침 ◇수, 30만 대군으로 고구려를 침입하였으나 대패하여 돌아감   

도시조님 강이식(姜以式)은 고구려 병마원수로 말갈병을 1만명으로 요서를 공격하여 수나라 군사를 임유관으로 유인, 수나라가 30만 병력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입하자 정병 5만 명으로 수나라 30만 대병을 임유관에서 대파함

611년 신미

 영양 22

◇2월 수 양제 고구려 정벌을 명령

 

612년 임신

 영양 23

◇7월 고구려 을지문덕, 살수에서 수군을 섬멸

도시조님 강이식(姜以式) 장군은 고구려 병마도원수(지금의 합참의장)가 되어 살수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때 왕의 동생 건무가 바다를 맡고 을지문덕이 육지를 맡았다.<신채호의 조선상고사 참고>

 

 

운기(雲紀) 검교 대장군

 

 

수손(秀孫) 우부위 대장군

 

 

박(圤) 정동 대장군

 

 

극용(克庸) 태사, 태보

668년 무진

 보장 27

◇9월 나당 연합군, 고구려 평양성을 함락(고구려 멸망)

택인(澤仁) 밀직교도

669년 기해

 신라 효소 8

 발해 천통 1

◇고구려 유민 대조영이 국호를 진(震)이라 함(발해 건국)

진(縉) 숭인전 사운과에 장원으로 급제, 후에 진양후(晉陽侯)가 됨

 

 연대 및 왕대

국사대사전(이홍직 편찬)

강씨종사(姜氏宗史)

948년 무신

 정종 3

◇후한의 연호를 사용

감찬(邯贊) 출생

963년 계해

 광종 14

◇12월 송의 연호를 사용

민첨(民瞻) 출생

998년 무술

 목종 1

◇7월 서희 죽음

주재(周載) 은사를 입고 문과 급제

현(顯) 12월 문과에 급제, 기거랑을 역임

1010년 경술

 현종 1

 

 

◇10월 강조(康兆), 행영도통사가 되어 30만 병력으로 통주에서 글안 침입에 대비 ◇11월 글안주, 내침하여 강조를 죽임.

주재(周載) 기거랑이 되어 거란에 동지를 하례했다.

 

 

1018~1019년

 현종 9~10

◇1월 글안병 개경에 박도, 시은현에서 회군 ◇2월 귀주에서 글안군을 대파

감찬(邯贊), 민첨(民瞻), 귀주에서 돌아가는 거란군을 대파함(귀주대첩), 각각 추충협모안국공신, 추성치리익대공신이 됨.

1021년 신유

 현종 12

◇5월 감찬 흥국사 석탑을 세움

민첨(民瞻) 별세

1031년 신미

 현종 22

◇윤 10월 국자감시를 신설

감찬(邯贊) 별세(8월)

1070년~1130년

 

소감공(휘 渭庸) 출생 추정

 

검교공(휘 文老) 출생 추정<소감공 아들>

 

판군기시사(휘 沖) 출생 추정<소감공 손자>

1200년 경신

 신종 3

 

빈(份) 박주수(博州守) 김방경 장군의 매부

 

 

관서대장군공(휘 元老) 출생 추정

1211년 신미

 희종 7

 

창서(彰瑞) 10월 명경과 급제(고려사절요 11권 323면), 한림학사

1218년 무인

 고종 5

◇8월 글안병 또 다시 침입

 

 

문준(文俊) 전중감흥위위집 상장군(殿中監興威衛輯 上將軍) 태자우청도수 부수(太子右淸道率 府率) 역임

1259년 기미

 고종 46

◇3월 유경 등이 최의를 죽이고 정권을 왕에게 돌려 줌

탁(度) 문과 급제, 보문각 교감(고려사절요 11권 477면)

1262년 임술

 원종 3

 

 

 

 

◇6월 몽고, 둔전군을 압록강 서쪽으로 이주시킴

 

 

 

위보(渭輔) 대장군(大將軍), 울릉도 작목사(斫木使)역임. 그후, 삼별초의 우두머리 배중손이 전사하고 여당(餘黨)이 탐라에 도망가서 반항하므로 삼별초(三別抄) 잔당을 토벌하러 갔다가 적에게 잡혀 간신히 살아 나왔다.

위찬(渭贊) 대부 주부(大府 主簿)를 지냈다.

1270년 경오

 원종 11

◇6월 배중손 등이 삼벌초를 거느리고 반란함

천(闡) 연주수(延州守)를 역임.

 

 연대 및 왕대

국사대사전(이홍직 편찬)

강씨종사(姜氏宗史)

1274년 갑술

 원종 15

◇1월 원, 고려에 사신을 보내 전함 3백 척을 만들게 함 ◇5월 원의 정동병(征東兵) 1만 5천 명이 옴 ◇10월 김방경은 원나라 장수 흔도(忻都)와 함께 일본 정벌에 나섰으나 실패하고 돌아옴

 

계용(啓庸 박사공파조) 일본통신사 서장관(書狀官), 아들 인문(引文)이 함께 동행, 이후 인문 일본 정벌에 참가하였다. 고려, 원나라(몽고) 연합군 2만 5천  병사가 대마도를 친 다음 일본 본토를 향하던 중 심한 풍랑을 만나 일본 정벌에 실패하고 본국으로 되돌아 와 다시는 벼슬을 하지 않았다.(掛冠不仕). 유사(遺事)에 이 사적이 실려 있다.  

1278년 무인

 충렬 4

◇2월 김방경 유배 ◇10월 김방경을 다시 등용

훤(暄) 10월 과거에 급제하였다.

 

1279년 기묘

 충렬 5

◇4월 원, 고려에 전함 9백 척을 만들게 함

습(褶) 1279년(충렬왕 5년) 낭장(郎將)으로 원(元)나라에 곡물의 매출(賣出)을 통고하고 돌아왔다.

1280년 기묘

 충렬 6

◇원의 세조는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을 설치하고 제2차 일본정벌을 준비, 실행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인문(引文) 1281년(고려 충렬왕 7) 5월 원나라가 2차 일본 정벌할 때 길을 잘 안다하여 일본 동정(東征)에 나서게 되었다. 10만 고려 원나라  연합군은  일본 하까다(博多)에 상륙하려다 또다시 폭풍우를 만나 싸우지도 못하고 수차 죽을 고비를 겪고 본국으로 돌아와 후손들에게 “내가 학자가 아니었더라면  그처럼  위험한 일은 겪지 않았을 것이다. 다시는 선비의 재주를 나타내지 말라(勿業儒術)”는 말을 남겼다.

1288년 무자

 충렬 14

◇4월 원, 고려에게 군사 5천 명과 군량미를 건주로 보낼 것을 청함 ◇5월 조정병(助征兵)을 철령에서 옮길 것을 요청함◇7월 원, 군사를 모집하러 옴 ◇10월 조정병을 그만 두게 함

거실(居實) 판사(判事)였는데 반야의 친족이라 해서 교수형을 당했다.

 

 

 

1289년 기축

 

취(就) 안렴사(按廉使)를 지냈다.

1295년 을미

 

항(恒) 문과급제

1296년

 충렬 22

◇첨의시랑찬성사 鄭可臣(어사공 師瞻의 장인) 성절사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 옴

 

1298년 무술

 충렬 24

◇1월 세자 왕위(충선왕)에 오름

보(保) 충성왕이 세자 때 원나라에서 수시력법(授時曆法)을 본 충성왕의 명으로 <수시력첩법(授時曆捷法)>을 완성했다. 1352년(공민왕 1) 판서운관사(判書雲觀事)에 이르렀다.

 

사첨(師瞻)  고려 충렬왕 때 전중(殿中) 감찰어사(監察御使)를 역임했다. 판내의령참리부사(判內議令叅理副使)에 증직되었다.

 

 연대 및 왕대

국사대사전(이홍직 편찬)

강씨종사(姜氏宗史)

1309년 기유

 충선 1

 

용정(用丁) 총랑(摠郞)을 거쳐 경상도 안렴사(慶尙道 按廉使)를 역임했다.

1314년 갑인

 충숙 1

 

방언(邦彦) 좌상시(左常侍), 상호군(上護軍)으로 원(元)나라 하절사(賀節使)로 다녀왔다.

1330년 충숙 17

 

彦(언) 안동목사(安東牧使)

1332년 충숙 후1

 

軒(헌) 밀직부사(密直副使)

1338년 충숙 후7

 

공목공 배위 정신택주 진주 하씨 출생

1339년 충숙 후8

 

시(蓍) 출생

1342년 충혜 3

◇3월 이인복(통정공 회백의 처 증조부) 원의 제과에 급제

1343년◇5월 문열공 이조년(양희공 처증조부) 별세

창부(昌富)  음직으로 정용위(精勇衛) 대장군(大將軍)을 지냈다.

1344년 충혜 5

 

군보(君寶) 남궁민 방에 등제

1344년

 

祐(우) 참리(叅理) 역임

1346년 병술

 충목 2

◇10월 이제현 등에게 편년강목을 증수하게 했다.

창귀(昌貴) 계림판관, 사후에 아들 문경공 군보(君寶) 의 공적으로 진원부원군에 증직되었다.

 

融(융) 본명은 강장(康莊), 찬성사(贊成事), 첨의좌정승판삼사사(僉議左政丞判三司事), 진령 부원군(晋寧府院君)

1352년 공민 1

 

千裕(천유)  밀직부사, 판삼사사(判三司事)를 거쳐, 하성부원군(河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첨의좌정승 융(融)의 아들이다. *하성=하동

1354년 공민 3

 

仲祥(중상)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진원군(晋原君)에 봉해졌고, 1361년 경상도 도순문진변사(慶尙道 都巡文鎭邊使)가 되었다.

 

 

仁伯(인백) 판삼사사(判三司事)역임, 내성부원군(奈城府院君) *내성=영월

1355년 공민 4

 

仲瑞(중서) 진령군(晋寧君)에 봉해졌다.

1357년 공민 6

 

회백(淮伯) 출생

1360년 공민 9

 

天守(천수) 전서(典書) 30여년 동안 이태조 측근에서 호위

1361년 공민 10

 

碩(석) 교주 강릉도 도순문사겸 병마사(交州江陵道都巡問使兼兵馬使)

1364년 공민 13

 

孫奇(손기) 출생

1365년(을사)

 

裋(수) 상장군(上將軍) 역임

전(詮) 출생

1367년 공민 16

 

元甫(원보) 판소부시사(判小府寺事)

1370년 공민 19

 

師贊(사찬) 삼사좌사(三司佐使)

여(餘) 출생

 

 연대 및 왕대

국사대사전(이홍직 편찬)

강씨종사(姜氏宗史)

1374년 공민 23

 

仁裕(인유) 찬성사(贊成事), 딸이 1385년 우왕의 안비(安妃).  1393년(태조 2)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다.

1376년 우왕 2

 

회백(淮伯) 문과 급제

1377년 우왕 3

 

楺(유) 안동부사(安東府使)

 

居正(거정) 판사를 역임했다.

1379년 우왕 5

 

회중(淮仲) 유량(柳亮) 방 문과 등제

1380년 우왕 6

 

군보(君寶) 별세

1381년 우왕 7

◇2월 이인임(양희공 筮의 장인) 문하시중이 됨

창수(昌壽) 삼사 우윤 역임(목은문고 윤귀생 처 최씨 묘지명에 기록됨)

황보백(璜寶) 별세

1387년 우왕 13

 

신덕(信德) 출생

1389년 창왕

 

회계(淮季) 김여지(金汝知) 방 문과 급제

여(餘) 출생

1390년 공양 2

 

통정공 배위 동래 정씨 별세

1392년 공양 4

◇고려 멸망

魯(노) 10월 생원 합격한 후 진사 병과에 급제, 1402년(정종 2) 정언

1392년 태조 1

 

仁甫(인보) 고려의 신하라 하여 직첩을 회수하고 먼 지방에 방치하였다.

문경공(휘 군보) 배위 계림군부인 경주 김씨 별세

1395년 태조 4

 

碩德(석덕) 출생

1397년 태조 6

 

仲琳(중림)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

1398년 태조 7

 

仁富(인부)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 방간(芳幹: 李成桂의 넷째 아들)의 처의 양부(養父)였기 때문에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 때 유배됨.

進德(진덕) 출생

1399년 정종 1

 

공목공 배위 정신택주 진주 하씨 별세

1400년 정종 2

 

澤(택) 판윤 역임, 통정공(휘 회백)과 동서지간

열(烈) 출생

11월 26일

시(蓍) 별세

1402년 태종 2

 

회백(淮伯) 별세

1407년 태종 7

 

의령 남씨(南氏) 별세

1410년 태종 10

 

사덕(思德) 별세 관서대장군공 7세

1413년 태종 13

 

통계공 전주 최씨(崔氏)와 혼인

1419년 세종 1

 

서(筮) 별세

1421년 세종 3

6월 4일

회중(淮仲) 별세

1422년 세종 4

 

손기(孫奇) 별세